get away with something 하나로 두 가지 의미 잡기 (부정적 VS 긍정적)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get away with something 하나로 두 가지 의미 잡기 (부정적 VS 긍정적)

by an eager learner 2025. 4. 24.
반응형

오늘  학습할 표현은  '~을 해내다' 입니다. 

영어로 'get away with'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표현은 주로 “잘못한 걸 들키지 않고 빠져나가다”는 뉘앙스가 강하지만, 어떤 일을 요령 있게 “성공해내다”는 긍정적인 톤으로도 사용될 수 있어요.

 

오늘의 표현 학습 후 아래에서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게요. :)

 

다양한 영상 속 오늘의 표현 살펴보기

 

대화문으로 'get away with something' 표현활용법 살펴보기

Step 1 대화문 읽으면서 오늘의 표현 살펴보기 

 

Emma: Did you hear what Amy did during the test?
Sophie: No, what happened?
Emma: She looked at her notes, right in the middle of the exam!
Sophie: What? Did the teacher see her?
Emma: Nope. She totally got away with it.
Sophie: Wow… I can’t believe she got away with cheating like that.

 

Translation:

엠마: 테스트 중 에이미가 한 것 들었어요?
소피: 아니요, 무슨 일이 있었나요?
엠마: 그녀가 시험 도중에 메모를 봤어요!
소피: 뭐라고요? 선생님이 그녀를 보셨나요?
엠마: 아니요. 그녀는 완전히 빠져나갔어요.
소피: 와... 그녀가 그런 컨닝 하다가 벗어났다니 믿을 수가 없네요.

 

 

 

Step 2 퀴즈 풀면서 대화문 내용 이해하기

 

  1. What did Jake do during the test?
    A) He looked at his notes 
    B) He helped someone
    C) He left early
    D) He handed in his test late
    ✅ Answer: A) He looked at his notes
  2. What does “get away with it” mean in this context?
    A) To escape from school
    B) To finish the test quickly
    C) To not get caught doing something wrong
    D) To ask the teacher for help
    ✅ Answer : C) To not get caught doing something wrong
  3. How did Sophie react?
    A) She was proud of him
    B) She was surprised
    C) She didn’t care
    D) She was angry at Emma
    ✅ Answer : B) She was surprised
  4. Did the teacher see Jake cheating?
    A) Yes
    B) No
    ✅ Answer : B) No
  5. What can we learn about “get away with something”?
    A) It means to be punished
    B) It means to run away
    C) It means to do something wrong and avoid consequences
    D) It means to do something dangerous
    ✅ Answer : C) It means to do something wrong and avoid consequences

 

해내다 의 또 다른 표현이 궁금하다면?

 

 

Step 3 상황에 따라 긍정/부정적 표현 적절하게 적용하기

 

오늘 배운 표현은 긍정/부정 모두 사용할 수 있어요. 그래서 문맥에 따라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파악하는 게 중요해요.

각각의 뉘앙스를 살펴보도록 할게요.

부정적인 뉘앙스: 잘못한 일을 들키지 않고 넘어가다 (죄를 짓고 벌을 안 받다)

잘못했지만 처벌 없이 넘어가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위에서 학습한 대화문에서도 부정적이 뉘앙스로 사용되었습니다. 

 

예문:

  • He cheated on the test and got away with it.
    (그는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했지만 들키지 않았어.)
  • I can't believe she got away with lying to the boss.
    (그녀가 상사에게 거짓말했는데 안 들켰다니 믿을 수 없어.)

 

긍정적인 뉘앙스: 어려운 일을 해내다, 요령 있게 잘 넘기다

잘못이 아니라, 위험하거나 어려운 상황을 잘 빠져나왔다는 느낌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 “운 좋게 해내다” 또는 “요령 있게 처리하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문:

  • Wow, you got away with finishing that project in one night?
    (와, 그 프로젝트를 하룻밤에 끝냈다고? 대단하네.)
  • We almost missed the train, but we got away with it just in time.
    (거의 기차 놓칠 뻔했는데 간신히 탔어.)

 

영작으로 오늘의  학습 마무리하기

  1. 아무도 눈치채지 못했기 때문에 그는 규칙을 어기는 데 성공했습니다.
  2. 그녀는 항상 최소한의 일만 하는 것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합니다. (bare minimum)
  3. 영원히 거짓말에서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4. 그들이 어떻게 그렇게 나쁜 성적을 내고 도망쳤는지 모르겠습니다.
  5. 부정행위를 하면 한 번쯤은 빠져나갈 수 있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Answers:

  1. He got away with breaking the rules because no one noticed.
  2. She always tries to get away with doing the bare minimum.
  3. You can’t get away with lying forever.
  4. I don’t know how they got away with such a bad performance.
  5. If you cheat, you might get away with it once, but not always.
반응형

댓글